[3] 대한민국 약의 비밀 - 김정환
Posted 2015. 9. 8. 20:56대한민국 약의 비밀
경향BP
김정환
잘쓰면 약 잘 못쓰면 독약, 영양제의 허와 실
역시나 [2]면역력을 높이는 생활과 마찬가지로 이과도서관에 온 김에 읽은 책이다. 몸에 좋다면 뭐든 먹고보는 한국에 살게 된다면.. '소장'을 해도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 책으로 앞으로도 자주 찾아보지 않을까 싶은 책이다. 나는 양약에 대한 불신에 가까운 마음이 있기 때문에 의사들이 처방을 해주더라도 언제나 약의 쓰임새와 스테로이드제의 유무.. 등등 아무튼 그런 불신을 없애고 내가 필요한 만큼 쓰게 만드는 앎의 힘은 역시나 이러한 책을 읽는 게 아닐까 한다.. 책의 내용은 도서구매 사이트에 가서 목차를 한 번읽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러한 책은 목적을 가지고 장을 나누기 때문에 목차로 내용을 대부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카페인음료(에너지드링크의 허구)나 종합감기약, 혹은 감기약에 대한 바보같은 처방은 어릴 때부터 지독하게 경멸하였기 때문에.. 빠르게 읽고 넘겼으며 '영양제' 관련 항목들을 주의 깊게 읽었으며 여기에 간략히 정리 해보고자 한다.
종합영양제의 허와실
종합영양제라고 하여 영양제 한 알로 내게 필요한 양이 전부 충족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성인의 경우 중요비타민과 미네랄의 1일 총 합계량이 약3,00밀리그램이지만 우리가 먹는 알약은 500~1000그램이다. 즉 피로회복에 좋은 비타민B가 피곤할 때는 100밀리그램까지 섭취하면 좋지만 대부분의 종합영양제는 1~10밀리그램 밖에 포함되어 있찌 않기 때문이다.
영양제 선택 방법
1. 종합영양제라고 한다면 가장 기본적인 다섯가지 비타민, 즉 비타민 A B C D E가 있어야 한다.
2. O MVP 방법- O 오메가-3, M 미네랄, V 비타민 , P 프로바이오틱스
오메가-3는 필수지방산이며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 즉 우리 몸에 좋은 활성균이다. 비타민과 미네랄은 우리 몸에서 각종 효소반응을 통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영양소이다. 평생동안 먹어도 몸에 무리가 가지 않을정도로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는 우리 몸에서 필수적인 것들이다.
P- 면역력을 높여서 외부로부터 방어하는 역할
O- 염증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공격하는 역할
비타민과 미네랄- 각종 일꾼
[오메가-3 제품 선택기준]
* 제품 안에 주성분인 DHA와 EPA의 함량과 순도가 높은 것
* 용도에 따라 DHA와 EPA 중 어느 것이 많이 들어 있는지 선별할 것
* 불순물이 거의 들어 있지 ㅇ낳아야 하며 어떤 원료로 만들었는지 호가인할 것
* 기름이 산패될 가능성이 있으니 가급적 소포장 용량으로 고를 것
EPA- 콜레스테롤 개선
DHA- 두뇌활발 개선
만약 DHA&EPA의 함량이 전체의 30퍼센트 이하라면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이 훨씬 낫다고 표현(=_=;;)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선택기준]
* 장내에 골고루 결합할 수 있도록 균의 종류가 여러가 복합되어 있을 것
* 가급적 저함량보다 고함량으로 포함될 것
* 위장에서는 견디고 장에서는 잘분포되도록 코팅기술 상태를 고려할 것
약으로 복용하지 않을려면.. 이중 오메가-3는 좋은 생선기름에서 유산균은 요구르트기계를 이용하여 직접 먹을 수도 있다. 비타민과 미네랄은 채소나 과일 곡류에 많으므로 유기농 식재료ㅗ를 구입해 골고루 그리고 최대한 많이 먹는 것이 좋다.
영양소별 ODI(Optimum Daily Intakes, 최적 섭취량)
피로에는 비타민 B복합제제 그리고 두통에도..
비염- 같은 자가면역성질환 등 면역을 잡아주기 위해서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 그리고 비염및 아토피성 피부염은 염증이기 때문에 오메가-3의 역할이 중요하다. 염증을 약화 시켜주는 인자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염증반응에 도움이 된다.
[사진]
이 책은 소장을 해야하지 않을까 싶을 정도이며.. 정말- 앞으로 영양제를 사먹거나 약에 대한 궁금증이 생길 때문 자주 찾아보게 될 책인 것 같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면역력력을 높이는 생활 - 니시하라 가츠나리 (0) | 2015.09.08 |
---|---|
[1] 정본 백석 시집 - 백석 (0) | 2013.10.14 |
- Filed under : 독서